JAVA의 이해

2018. 9. 15. 17:12카테고리 없음


JAVA의 이해.

1. 자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짤 때 각각의 역할을 하는 객체로 프로그램을 구성합니다. 때문에 비슷한 역할을 해야 하는 또 다른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할 때, 이전 사용했던 객체를 활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바 [java] (천재학습백과 초등 소프트웨어 용어사전, 천재교육)

(말이 쉽게 설명돼있어서 초등 용어사전에서 발췌함 ㅎ..)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실세계의 현상을 컴퓨터상에 객체로 실현(모델화)함으로써, 컴퓨터를 자연스러운 형태로 사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법. 여기에서 객체는 실체(데이터)와 그 실체와 관련되는 동작(절차, 방법,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기차역에서 승차권 발매의 예를 들면, 실체인 ‘손님’과 절차인 ‘승차권 주문’은 하나의 객체이고, 실체인 ‘역무원’과 절차인 ‘승차권 발매’도 하나의 객체이다. 어떤 과제를 처리하기 위해 객체 간에는 메시지(지시)를 주고받는다. 메시지를 받은 객체는 동작(절차)을 실행한다. 코볼이나 베이식과 같은 기존 프로그램에서는 동작과 절차를 중심으로 하고 실체는 종속적으로 취급했으나, 객체 지향 프로그램에서는 실체와 동작을 객체로 정의하고 객체 간의 메시지 교환에 주안점을 두어 정보를 처리한다. 즉, 객체 지향은 과정을 중시하는 절차 중심의 설계가 아니고, 실체를 중시하는 설계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공통의 성질을 갖는 객체는 객체 등급으로 정의한다는 점인데, 같은 등급에 속하는 객체들은 그들이 받는 메시지에 대하여 비슷하게 반응한다. 객체 등급은 계층화할 수 있으며, 하위 계층의 객체 등급은 상위 등급의 성질과 기능을 계승한다. 따라서 객체 지향은 시스템의 모듈화, 캡슐화를 촉진하여 복잡화, 거대화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쉽고, 작성하기 쉬우며, 유지 보수하기 쉬운 방향으로 재구축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스몰토크와 같은 객체 지향 언어로 작성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ive-oriented programming, 客體指向-]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요약 -> 객체인 '승객'과 절차인 '승차권 발매' 둘 다 각각의 객체로 보고 주어진 과제를 처리하기 위해 객체간 메시지(지시)를 주고 받는다. 즉 객체 지향은 실체를 중시함.


*겍체 등급: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구조, 형태 등 어떤 공통의 속성을 가지는 객체의 집합. 이 속성 등급에 따라 계층화가 가능하고, 상위의 개념을 가지는 속성은 상위의 객체 등급에서 하위의 속성 등급에 계승된다.


*캡슐화: 객체의 자료와 행위를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 내용을 외부에 감추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