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7)
-
SQL 개요2
select,from은 생략 불가능 where절을 제외한 부분은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ex1) emp테이블에서 sal이 1500이상인 데이터의 모든 열을 조회 ex2) emp테이블에서 job이 manager인 데이터의 empno, ename, job을 조회 ex3) emp에서 hiredate가 1982년인 데이터의 ename,.job,hiredate를 조회 ex4) emp에서 ename에 T가 2개 이상 포함된 데이터 조회 ex5) comm의 값이 null인 모든 열을 조회 AND,OR,NOT and: 2개의 조건을 모두 만족 or: 2개 중 하나 not: 반대 not between a and b not in(데이터 모임) not like 패턴 is not null String search = ..
2020.05.07 -
함수
Function -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코드 블럭 - 함수를 실행(call)하면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이 하나가 할당 되고 그 안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수행이 끝나면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소멸시키고 호출한 곳으로 돌아감(return) 이 때 사용되는 메모리 자료 구조가 stack이라 보통 함수가 할당 받은 메모리를 Stack이라고 함. - 이 스택의 크기를 넘어서 저장 => stack overflow 지금은 stack크기 조절 가능 - 함수는 클래스나 인스턴스에 소속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클래스나 인스턴스에 소속된 함수는 메소드라고 함 - 메시지가 오면 리시버가 셀럭터를 호출, 메시지 = 이벤트, 리시버 = 메소드를 호출하는 대상(클래스, 인스턴스) 셀렉터 = 호출되는 함수 함수형 프로..
2020.05.06 -
Dictionary, Set
Dictionary - 키와 값으로 이루어진 컬렉션 Set - 중복되지 않는 원소가 순서 없이 저장된 컬렉션 - 중복된 데이터는 여러번 저장해도 한번만 삽입됨. - 저장된 순서와 상관없이 저장됨.(정렬 필요) remove(멤버) - 멤버 삭제 removeFirst() - 삽입은 임의의 순서로 삽입되니 매번 삭제되는 값이 다름
2020.05.06 -
SQL 개요
SQL - Structure Query Language: 구조적 질의 언어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위한 언어 1. 분류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DBA(Data Base Administrator의 언어) - 구조를 만들고 변경,삭제하는 언어 Create, Alter, Drop, Truncate(테이블 삭제), Rename 2) DML(Data Maniplate Language - 개발자의 언어) - 데이터를 삽입,삭제,갱신하는 언어 Insert, Update, Delete 3) DQL(Data Query Language - 개발자의 언어) - 데이터를 조회하는 언어 - DB이론에서는 DQL을 DML로 간주 select: 데이터 조회 4) TCL(Transact..
2020.05.06 -
R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 테이블의 집합으로 데이터를 표현 - SQL로 질의 Schema(class) Table(Relation) 행(row,tuple,record) 열(column,attribute,property,field) key: 구별할 수 있는 attribute 또는 그 집합 Super key - 애트리뷰트 개수에 상관 없이 구별이 가능한 속성 또는 속성의 집합 ex) 학번+ 개수 Candidate key(후보키) - 속성의 개수가 최소인 super key Primary key(기본키,주키) - 개발자가 선택한 후보키(1개만 설정 가능)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키 Alternate key(대체키) - 기본키가 아닌 후보키 Foreign key(외래키,참조키) - ..
2020.05.06 -
Open API
Open API - 이전에는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을 하면 데이터를 가지고 View를 만들어서 출력 - 접속하는 디바이스가 다양해지면서 이렇게 서버 쪽에서 모든 View를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졌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형식의 데이터가 아닐수도 있다는 문제가 발생 - 최근에는 데이터를 가진 곳에서 일반 유저들이 데이터를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것을 Open API라고 함. - Open API는 아무런 과정없이 가저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회원가입을 하고 일정 정보를 입력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이러한 데이터를 가져다 원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서 출력하는 것을 publishing이라고 함. => URL에 한글이 포함되어 있으면 인코딩해서 설정해야함. ..
2020.05.04